Basic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컴퓨터의 연산 원리 (논리 회로와 가산기) 트랜지스터 (Trangister)컴퓨터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CPU는 트랜지스터(Trangister) 반도체로 구성되어있다. 컴퓨터에서 모든 것을 표현하는 0과 1은 전기적 신호로 부터 표현된다. 전기적 신호는 트랜지스터로부터 발생된다. 트랜지스터에서 전압이 걸려 전류가 흐르면 1, 흐르지 않으면 0이 된다. 이렇게 전기적 신호(전류 흐름)는 디지털 신호(1, 0)로 변환된다. 전압은 전자의 이동을 유도하는 전기적인 힘의 크기를 나타낸다. 동일한 부호의 전하(양전하끼리 또는 음전하끼리)는 서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다른 부호의 전하(양전하와 음전하)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 이를 통해 전자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트랜지스터는 세 개의 단자(Terminal)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자의 이름은.. 왜 1byte는 8bit일까? (ASCII, Unicode) 문자의 표현전기 신호는 전구의 빛이 ‘들어왔다/안들어왔다’ 하는것이 디지털 신호로 이진수인 ‘1/0’으로 변환되어 표현이 된다. 컴퓨터 초창기에는 데이터 저장 및 처리에 있어서 복잡한 연산을 다루기에는 제한이 많았기 때문에 1byte가 4bit 였다. 이후 데이터 처리의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더 많은 정보를 표현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로써 컴퓨터는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문자로 표현이 필요했다. 컴퓨터는 영어권에서 시작되고 발전되었기 때문에, 영문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코드들의 숫자가 7bit ~ 8bit면 충분했다. 모든 기기마다 숫자와 문자가 각기 다르게 맵핑 되어 있다면, 데이터를 전송되었을때, 상호간에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숫자와 문자가 맵핑되는 기준 표를 만들었다. .. 진법 변환과 음수의 2진 표현(부호 비트와 보수) 진법(Base)이란?Base는 한국말로 진법이다. 개발을 하다보면, Base64로 인코딩한 경험이 있을것이다. 이 뜻은 64진법으로 인코딩한다는 것이다. 먼저 진법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가 사용하는 수는 인도인들이 만들었다. 기호를 나타내여 수를 표시하는 기수법이 인도에서 발전되었다. 그것이 아라비아 숫자이며, 본래는 인도에서 만들어졌지만, 아리비아를 통해 유럽으로 건너갔었기 때문에 아리바아 숫자라고 불린다. 아리비아 숫자는 위치 기수법에 따른 십진법으로 수를 표시하는 인도 수체계이다. 여기서 N진법이란, N보다 작은 수의 반복적인 패턴으로 무한히 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10진법은 0 ~ 9까지의 수로 반복하여 무한히 수를 표현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0이란 수를 이용하여, 1 ~ 9 까지수의 끝자리.. 이전 1 다음